본문 바로가기

OS/Unix/Linux

리눅스의 기본명령어들 - 기타 유용한 명령

▶ 탭키 --> 빠른 입력의 열쇠

$ cd g 탭키 (g로 시작되는 나머지 글자 자동입력)

$ cat I 탭키 (I로 시작되는 나머지 글자 자동입력)

$ mv q3_* weapon(q3으로 시작하는 모든 문자를 weapon으로 이동)

▶ | --> 여러명령을 동시에 해결

# ls -al | sort -r | more (ls 명령을 통해 출력된 결과를 sort 명령으로 정렬하고 more 명령을 통해 보기 쉽게 출력하라는 세가지 명령)

▶ man

# man (명령어 도움말)

▶ Ctrl + C --> 실행중인 명령을 강제 종료

▶ Ctrl + Z --> 실행중인 명령을 일시 중지

▶ ; --> 한번에 여러 명령 내릭

# data > data.txt ; ls ; pwd > pwd.txt ( 순차적으로 명령을 실행)

▶ mount --> 주변장치 마운트

# mount /dev/cdrom /mnt/cdrom (/dev/cdrom을 /mnt/cdrom 디렉토리로 마운트 함)

▶ umount --> 언마운트

# umount /mnt/cdrom (/mnt/cdrom 디렉토리를 언마운트함)

▶ /ect/fstab --> 자동 마운트

# vi /etc/fstab (vi 에디티로 /etc/fstab 파일에 자동 마운트 등)

▶ 윈도우 FAT 파일 마운트

# mkdir /mnt/c

# mount -t vfat /dev/hda1 /mnt/c (/dev/hda1 파티션을 /mnt/c 디렉토리에 마운트)

# mount -t ntfs /dev/hda1 /mnt/c (ntfs 마운트)

▶ RPM 패키지 관리하기

# rpm -qa : grep xsnow (xsnow라는 패키지 명의 설치 정보를 출력)

# rpm -e xsnow (xsnow 패키지를 제거)

▶ tar 압축파일 관리

$ tar -cvf RATMimag.tar * (모든 파일을 압축)

$ tar -xvf RATMimag.tar (압축해제)

[출처] 리눅스의 기본명령어들 - 기타 유용한 명령|작성자 QuarkXPress EPub

 

로그정보 --> /var/log에 저장됨

가상콘솔 6개까지 --> 전환방법은 Ctrl + alt + F1 ~F6

Ctrl + alt + F7 --> X윈도우 모드로 전환시 Ctrl + alt + Backspace --> X윈도우에서 콘솔로 전환시

장치관리자 정보 --> /dev에 저장됨

부팅시 메시지 정보(부팅정보) --> /var/log/messages에 저장됨 --> 확인명령 #dmesg

온라인메뉴얼 man

# man [명령어]

[space] --> 다음페이지, [b] --> 이전페이지, /검색어 --> 이후 페이지 문자검색, ? 검색어 --> 이전 페이지 문자검색, [n] --> 다음 단어로 이동, [q] --> 종료

프로세스

# 실행프로그램 & --> 백그라운드로 작업실행

# jobs --> 백그라운드 작업 리스트 보기

Ctrl + Z -> #bg --> 포그라운드 작업에서 백그라운드 작업으로 전환

# jobs -> #fg %작업번호 --> 백그라운드 작업을 포그라운드 작업으로 전환

#kll -9 [PID] --> 프로세스를 강제종료(하드웨어 종료)

#kill -15 [PID] --> 프로세스를 강제종료(소프트웨어 종료)

#kill -HUP [PID] --> 데몬의 경우 종료후 다시시작, 코드와 데이터를 초기화함

#pstree --> 프로세스를 트리형태로 보여줌

#ps auwx : grep --> 실행중인 프로세스를 자세히 보여줌

ls 명령어

#ls /usr/bin , #ls -a , #ls-l, #ls *.txt, #ls -al /usr/bin

cd명령어

#cd --> 홈디렉토리로 이동 #cd ~john --> 존의 홈디렉토리로 이동

mkdir 명령어

#mkdir aaa, #mkdir -p aaa/bbb --> 현재 디렉토리 밑에 aaa와 그 서브디렉토리 bbb생성

#rmdir aaa , #touch abc.txt --> 빈파일 abc.txt 생성하거나 기존 파일 있을때 생성날짜 변경

rm 명령어

#rm abc.txt #rm -i abc.txt

#rm -r abc ---> 디렉토리 삭제 #rm -rf abc --> 디렉토리와 그 서브 디렉토리까지 삭제

mv 명령어

#mv aa bb cc dd -->aa, bb, cc를 dd 디렉토리로 이동 #mv abc.txt bbb.txt --> 이름 변경

cp명령어

#cp abc.txt cba.txt

#cp -r abc cba --> 디렉토리 복사

ln 명령어

#ln -s /aa/bb/cc/dd abc --> abc로 바로가기 생성, 심볼릭 링크

#ln a c

vi editor 명령어

명령모드 상태에서 키보드의 화살표키나 [h] [j] [k] [l] 키로 이동

행단위 이동 G --> 파일의 마지막행 5G --> 5번째 행 이동

명령모드에서 입력모드 전환 키보드 [a] or [i]

입력모드에서 명령모드 전환 키보드 [Esc]

입력모드에서

[w] --> 저장, [q] --> 종료, [wq] --> 저장후 종료, [q!] --> 저장않고 종료

명령모드에서

x --> 한글자 지우기 dw --> 커서 오른쪽 삭제, db --> 커서 왼쪽 삭제

dd -->한줄 삭제, ndd --> n줄 삭제

yy --> 한줄 복사, nyy --> n줄 복사

p --> 현재 커서 아래 붙이기, np --> n번 붙이기

u --> undo 복구하기

/검색어 --> 아래방향 검색, n --> 다음찾기

명령모드에서 실행모드로 전환 :

set number --> 각 줄 앞에 숫자 붙이기 환경설정 명령

[출처] 자주사용하는 명령어 중심 #1|작성자 QuarkXPress EPub

 

시스템정보 보기

#uname -p (cpu 정보보기), #uname --help, #uname -a

#free -m (메모리 정보보기)

#ps auwx | grep http (http 프로세스 정보 보기)

#top (프로세스별로 CPU와 메모리 점유율 보기)

#df (마운트한 파일 시스템 크기)

#du (디렉토리별 용량보기) #du /usr, #du /home

#lsdev (사용중인 장치 정보보기)

#w (현재 시스템 사용자 정보 보기)

#rdate -s time.bora.net (표준시간을 가져옴)

#date (현재시간)

#clock (CMOS 시간)

#clock -w (CMOS에 현재시간을 기록)

#last (최근 시스템 접속자 정보보기)

#ifconfig (네트워크 장치 설정 정보보기)

#redhat -nfig-network (IP 주소 변경)

#service network restart (네트워크 재시작)

ip 주소 변경 방법

#vi /etc/sysconfig/network -scripts/ifcfg-eth0

파일속성

-rwxrwxrwx 2 root root 300 ....

속성/허가권 링크수 소유자 그룹 파일크기 ....

파일속성

- :일반파일, b: 블록장치, c:문자장치, d:디렉토리, l:심볼릭링크, p:파이프, s:소켓

허가권

rwx rwx rwx

소유자(user) 그룹(group) 그외(other)

#umask --> 최초의 자동 퍼미션 부여, 기본으로 022세팅

#umask --> (022 : 666-022 --> 644 --> rw-r--r-- 속성 지정

#umask 002 (666-002 --> 664 --> rw-rw-r-- 속성이 지정됨

파일속성 변경

#chmod [옵션] [사용자] [+/-] [퍼미션] [파일/디렉토리]

옵션: -R (하위 디렉토리까지 포함)

사용자: ugo(user, group, other) a(all)

퍼미션: rwx 기타 sgt

#chmod ugo -w filename

#chmod ug +w filename

파일 소유권

#chown [변경할사용자ID] [변경할 파일 또는 디렉토리]

#chgrp [변경할 그룹ID]] [변경할 파일 또는 디렉토리]

-R 옵션: 하위 디렉토리 및 파일변경

#chown mrwoo test


'OS > Unix/Linux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리눅스 자주사용하는 핵심명령어#4  (0) 2016.02.04
자주 사용하는 핵심 명령어 #3  (0) 2016.02.04
putty 한글 출력  (0) 2016.02.04
리눅스 svn 명령어 사용법  (0) 2016.02.04
리눅스 java 설치 / 리눅스 jvm 설치  (0) 2016.02.04