[하드디스크 추가하는 방법]
하드웨어추가 -->
#fdisk /dev/hdd
#mkfs.ext3 /dev/hdd1
#mkdri download (마운트될 디렉토리 생성)
#mount -t ext3 /dev/hdd1/downlad
부팅시 자동으로 마운트되게 하려면
#vi /etc/fstab 에 마운트될 항목을 추가함
[LVM 여러개의 하드디스크를 하나로...]
#fdisk /dev/hda
볼륨 타입을 기본인 ext3에서 lvm으로 변경
#pvcreate /dev/hda1
#pvcreate /dev/hdb1
#vgcreate myVG /dev/hda1 /dev/hab1 ....
#lvcreate -l 48 -n myLG1 myVG
#mkfs.ext /dev/myVG/myLG1
#mkdir data
#mount -t ext3 /dev/myVG/myLG1
하드디스크 볼륨 Primery Master: hda, Primery sleave: hdb, Secondary Master: hdc, Secondary sleve: hdd, 하드디스크 안에 파티션이 표시될 경우 hda1, hda2, hdb1, hdb2...
[마운트 명령]
mount -t [파일시스템타입] [장치명] [마운트포인트]
#mount -t iso9660 /dev/cdrom /mnt/cdrom
#umount /dev/cdrom ( 마운트 해제)
#mount , #df --> 현재 마운트된 파일 확인
*파일시스템은 vfat, ntfs, iso9660
[윈도우 멀티부팅]
#mkdir win2000
#mount -t vfat /dev/hda1 /mnt/win2000
#mount -t vfat -o iocharset=cp949 /dev/hda1 /mnt/win2000 --> 한글이 깨질경우 처리
[RPM]
패키지 이름 - 버전 - 릴리즈 번호. 아키텍쳐. rpm
mozilla-1.2.1-26.i386.rpm
#rpm -Uvh <패키지 파일명> (설치명령)
U: 패키지가 없다면 i와 같이 일반설치, 패키지가 이미 있다면 업그레이드
v: 설치과정 확인, h: 설치진행을 #마크로 표시함
#rpm -qi mozilla ( 이미 설치된 패키지의 정보)
#rpm -qa mozilla (설치된 패키지의 이름 조회)
#rpm -e mozilla (삭제)
#rpm -Uvh <패키지명>*, #rpm -Uvh --force --nodeps <패키지명> (패키지 강제설치)
[텔넷]
#cd /etc/xinetd.d (이 디렉토리에 네트워크 관련 프로그램이 존재)
#vi telnet --> telnet 관련 환경설정값을 조정 disable = no
# /etc/rc.d/init.d/xinetd restart (xinetd 재시작함)
#ps -ef | grep xinetd (프로세스 실행 확인)
#ifconfig eth0 (ip 확인)
SSH를 사용하는 원격접속
telnet, rlogin, ssh, telnet-ssl
#rpm -qa | grep ssl (패키지 확인)
#rpm -qa | grep ssh (패키지 확인)
[출처] 자주 사용하는 핵심 명령어 #3|작성자 QuarkXPress EPub
'OS > Unix/Linux' 카테고리의 다른 글
yum (0) | 2016.02.04 |
---|---|
리눅스 자주사용하는 핵심명령어#4 (0) | 2016.02.04 |
리눅스의 기본명령어들 - 기타 유용한 명령 (0) | 2016.02.04 |
putty 한글 출력 (0) | 2016.02.04 |
리눅스 svn 명령어 사용법 (0) | 2016.02.04 |